오늘은 불법 주정차를 신고하는 방법과 신고 포상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굳이 신고 포상금을 노리고 불법 주정차를 찾아 헤매는 포상금 사냥꾼이 되기 위함이 아닌 불법 주정차를 신고해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 주정차를 근절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소개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목차
불법 주정차 지역이란?
| 불법 주정차 지역이란?
불법 주정차 지역이란 말 그대로 주차나 정차를 금지하는 지역을 말하고 이런 지역을 지정해서 운영하는 이유는 해당 지역에 불법으로 주정차를 할 경우에 여러 가지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불법 주정차 지역은 교차로나 횡단보도, 건널목 같은 차도와 보도가 구분되는 지역이나, 버스정류장이나 소화전이 위치한 곳, 초등학교 앞 같은 어린이 보호구역, 터널 안이나 다리 위 같은 지역을 말합니다.
불법 주정차가 확인됐을 때는 도로교통법 제 32조의 법령에 따라 최소 4만 원에서 많게는 8만 원, 특수하게 안전표시가 돼 있는데도 불법 주정차를 했을 때나 승합자동차가 어린이 보호구역에 불법 주정차를 했을 때는 9만 원까지도 부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
|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이란?
그렇다면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 제도를 운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 제도는 불법으로 주정차를 했을 경우에 신고를 진행한 신고자에게 일정 포상금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요. 해당 제도를 국가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이유는 불법 주정차를 근절하기 위함입니다.
제한이 있는 공무원 인력과 CCTV 만으로는 전국 방방곳곳의 불법 주정차들을 근절할 수 없고 그렇게 되면 공무원과 CCTV의 눈이 없는 사각지대에서 불법 주정차가 일어나 그로 인해 2차 피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와 각 지역의 지자체들은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 제도를 운영해 이런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다하고 있는데요.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은 불법 주정차를 알리고 신고한 신고자에게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관련하여 시행 초기에는 직접 금액을 지급하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신고에 대해 일정 마일리지를 적립하게 하고 그 마일리지로 매년 말 모바일 쿠폰을 지급받을 수 있게 제대로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불법 주정차 신고방법
| 불법 주정차 신고 방법
그렇다면 불법 주정차를 신고하는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불법 주정차라고 의심이 되고 판단이 되는 경우엔 신고자는 안전신문고 앱(애플리케이션)으로 직접 사진 촬영하여 신고 접수가 가능합니다.
접수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안전신문고 앱을 실행해서 사진을 1분 간격으로 2장 찍는 것으로 신고 접수가 완료됩니다. 이렇게 불법 주정차 신고가 앱을 통해 접수될 경우에는 별도로 단속이나 현장 조사 없이 즉결로 과태료가 해당 차주에게 부과되게 되며, 그에 따른 보상으로 상기에 설명드린 불법 주정차 신고 포상금 마일리지가 신고자 본인 계좌로 적립됩니다.
특히 일반 시민들이 발 벗고 이런 불법 주정차 신고에 동참해야 하는 이유는 최근에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어린이 보호구역 스쿨존 교통사고나 교차로 건널목 어린이 교통사고 등으로 답변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법 주정차를 신고해서 마일리지를 쌓고 보상을 받으라고 이 포스팅을 쓴다기보다는 불법 주정차로 인해 나의 아이나 우리 주변의 아이, 그리고 노인분들이 직접 피해를 입고 교통사고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불상사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에서 포스팅을 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한순간의 편의를 위해 진행하는 불법 주정차, 그로 인해 소중한 생명과 누군가의 가족과 지인이 크게 다칠 수 있음을 꼭 주지하고 매번 주정차 시 이곳이 주정차를 하기에 적합한 장소인지 생각하는 운전자 분들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새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복지 지원제도 신청방법 (6월말까지 연장 중) (0) | 2021.06.08 |
---|---|
유상철 사망원인 가족력 췌장암의 원인 (0) | 2021.06.08 |
근로자 휴양콘도 신청방법과 자격요건 요약 (0) | 2021.06.07 |
정보석 빵집 우주제빵소 위치 (0) | 2021.06.07 |
한시 생계지원금 이의신청 방법과 절차 (0) | 2021.06.05 |
댓글